전기차와 내연기관차 가격이 비슷해진다.

전기차와 내연기관차에 대한 가격과 시간이 지난 후로 가격이 어떻게 형성될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전기차는 현재 비용이 많이 들어 가장 큰 장벽은 가격입니다. 하지만 곧 이 가격 장벽도 곧 무너질 것이라 생각합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최근 기사에서 전기차와 내연기관차의 가격 격차를 점차 좁혀지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테슬라 창업자 일론 머스크는 앞으로 더 낮은 가격에 전기차를 내놓는다고 선언했습니다. 현재 폭스바겐그룹 산하 자동차 업체, 현대, 기아, 테슬라, 쉐보레, BYD, 폴스타, 루시드 등 여러 자동차 업체들이 보급형 전기차를 목표로 연구를 하고 있으며, 앞으로 가격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 원가 절감을 시키는 연구도 같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다양한 요인으로 전기차 생산 비용은 향후 몇 년간 급격하게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고, 자동차 산업의 특성상 제조사들이 가격 경쟁력을 높이면서 소비자 부담을 덜어줄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습니다.
전기차 가격이 비싼 이유
전기차 가격이 지금까지 비싼 이유는 자동차 내 외부에 부품이 비싸서 그런것이 아닙니다. 원인은 배터리입니다. 배터리 팩은 전기차에서 가장 비싼 부품이며, 이로 인해 전기차 가격이 내연기관차보다 비싸게 형성되는 이유입니다. 배터리 기술 향상과 생산량 증가로 인해 가격은 점점 하락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펜데믹 여파가 점차 해소되면서 글로벌 자동차 업계의 생산 규모가 다시 확대되고 있고, 새로운 배터리 화학 물질의 개발이 진행되면서 배터리 팩 가격을 낮추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중국의 LFP 배터리 견제 대상인가
현재 중국 배터리 제조사들 전기차 배터리 업체들 CATL, BYD, 샤오미 등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화학 물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테슬라 역시 2021년 LFP 기반 배터리 팩을 BYD에서 제공받기 시작했으며, 최근엔 폭스바겐과 포드 등 다른 제조사들도 LFP 사용을 선호하는 추세입니다. 일부 자동차 회사들은 좋은 에너지 밀도의 니켈 배터리를 계속 선택하겠지만, 저렴한 LFP 저가형 전기차를 선택할 이유가 크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한계가 있는 LFP 배터리의 선택을 하는 자동차 업계에서도 프리미엄 차를 제조해야할 때, LFP 배터리 팩은 NCM (니켈,코발트,망간) 삼원계 배터리보다 동일용량 대비 부피가 크기 때문에 신규 배터리 팩 물질을 앞으로도 계속 찾아다니며 선택할 것입니다.
전기차는 경제성이 있다
최근 전기료는 오르고 휘발유 값은 하락하면서 전기차, 내연 기관차 운영비에 대해 고민하고 계신 분들이 많습니다.
친환경 차 전기차는 일반적으로 휘발유, 디젤을 사용하는 내연기관차보다 연료비가 덜 드는 것으로 소비자들이 인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기차가 내연 기관차보다 대체로 차값은 더 비싸고, 배터리 충전으로 움직이기에 연료비가 절약되는 것으로 여깁니다. 미국 폭스 비즈니스 뉴스에서 (앤더슨 이코노믹 그룹Anderson Economic Group, AEG) 조사에서 지난해 말에 휘발유 값이 내려갔으나 전기 사용료가 올라 전기차보다 내연기관차가 더 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라고 보도했습니다. 하지만 이 이 조사는 미국이기에 가능한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전기로 충전하는 비용보다 휘발유 비용이 더 비싸기 때문입니다.
전기차와 수소차 선택
최근 전기차와 수소차에 대한 이야기가 많습니다. 전기차는 충전시간이 완충까지 고속충전으로 최대 2시간이 걸리는 반면에 수소차는 일반 내연기관과 비슷하게 5분이면 충전이 가능하고 수소 1Kg 당 100KM 까지 가는 연비로 최대 6Kg의 연료통이 설치되어 운용 중이라고 합니다. 전기차가 친환경 이라고 하지만 그 많은 배터리를 제조하기 위해 생산하는 공장과 광산에서 연료를 추출하는 화학공장들 앞으로 10년 후 폐기물에 대한 처리에 대해서 언급하시는 분들이 없습니다. 수소도 마찬가지로 폐기물 처리에 대한 비용이 비쌉니다. 하지만 공기 중 산소와 결합하여 전기를 발생시켜 운행하는데 수소 스텍이 현재는 비싸고 처리하기 어렵다고 하지만, 수소 부품값이 내려가고 가격 경쟁력을 전기차보다 우위를 가진다면 그리고 수소 폐기물 처리가 추후에 안정화되어 가격이 낮은상태로 가능해진다면, 가스를 내뿜지 않고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청정기가 도로에 달리는게 친환경차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오늘 전기차와 내연기관 가격에 대해 앞으로 향후 전망이 어떤지 알아보았습니다. 오늘도 궁금증을 해결한다.
이상으로 해결대장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