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겹살은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을까?
삼겹살은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을까?
봄이 되면 찾아오는 황사 그리고 미세먼지가 많을 때, 체내애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삼겹살을 먹어야 한다는 속설에 대해 알고 계시는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 삼겹살이 체내에 미세먼지를 제거한다는 말은 과학적은 근거가 없는 속설이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되겠습니다. 왜 삼겹살이 체내에 미세먼지를 제거한다는 속설이 나왔는지와 미세먼지가 많은 날 삼겹살을 먹으면 주의해야 될 이유에 대해 포스팅합니다.
흔히 목이 칼칼해지면 삼겹살로 기름칠 좀 해야 되겠다는 소리를 자주 듣습니다. 실제로 가장 심한 3월에 돼지고기 소비량은 20% 이상 증가한다는 수치가 있을 정도이니, 맛도 좋지만, 목이 칼칼함이 느껴지면 많이 드시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 삼겹살을 먹으면 기름 때문에 미세먼지가 제거가 된다, 안된다 라는 2가지 주장이 있습니다.
1. 삼겹살은 미세먼지에 도움이 안 된다.
음식은 입을 통해 식도를 타고 위로 내려가게 됩니다. 대기 중 오염물질은 호흡기를 통해 폐로 들어갑니다. 그럼 위장으로 가는 길과 폐로 가는길 2가지가 있어 도움이 안 된다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2. 삼겹살은 미세먼지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
돼지고기 자체는 몸속 중금속을 흡착시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동의보감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특히 수은중독과 광물성 약물에 의한 중독치료를 했다는 내용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또 2008년 공사장 등 대기가 안 좋은 곳에서 업무를 하시는 분들을 대상으로 한국식품연구원에서 돼지고기를 주 3회 섭취하게 했더니 체내 중금속 함량이 실제로 감소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미세먼지가 많은 날 목에 칼칼함이 심해지는데 이 목의 칼칼함과 이물감을 제거하고 싶은 기분 탓에 우리들은 삼겹살 돼지고기에 기름을 찾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실제로 도움이 되는 것은 살코기이고 수육이든 구이든 조리 방식에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하지만 좋은 음식은 따로 있으니 많이 섭취하지 않으셔도 된다는 사실을 기억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미세먼지는 1분 만에 혈관에 침투해 몸 곳곳 그리고 머리에 있는 뇌까지 침투를 하게 됩니다. 2013년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1군 발암물질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인간의 평균수명을 1년에서 2년 이상 줄어들게 하고, 극심한 지역에서는 수명이 2년 이상 감소한다는 연구결과도 나와 있습니다. 2015년 기준으로 조기 사망하는 인구수는 879만 명이며, 이는 흡연 사망자 수보다 120만 명 높은 수치입니다. 호흡기 질환으로 사망을 많이 생각하시겠지만 이중 4~80%가 심, 뇌혈관계질환으로 사망합니다.
3. 미세먼지는 치매와도 관련이 있을까
치매 환자의 뇌를 해부해 본 결과 인지기능 손상, 알츠하이머 위험 증가 등을 밝힌 연구결과가 있어 치매와도 상당한 인과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뇌를 싸고 있는 혈관막을 미세먼지가 통과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성인보다 아동에게 더 취약합니다. 아이들은 신체 발육 및 장기까지 성장하고 있어 아이들의 숨을 쉬는 것이 성인보다 더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어른보다 폐의 용량이 적기 때문에 여러 번 쉬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아동은 더 많이 흡수해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미세먼지를 방어하는 우리의 자세
우리는 공기질에 따라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쁨, 아주 나쁨 등 5가지의 공기질을 네이버에서나 애플리케이션에 미세미세 등등 다운로드하여 쓰실 수 있습니다. 공기질이 아주 나쁨이거나 나쁨일 때,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외출시에는 꼭 마스크를 착용해 외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마스크는 기본적으로 KF80에서 KF94까지 시중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마스크를 잘 착용해 우리의 신체를 보호하고 어린아이들의 성장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마스크를 꼭 착용하시길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한 가지 더 추가한다면 미세먼지가 좋지 않은 날 실내 환기를 20분 이상 하지 않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미세먼지가 많다고 실내 환기를 하지 않으면 실내에 쌓여있는 미세먼지가 더 많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이상으로 미세먼지와 삼겹살에 대한 관계와 그 밖에 치매 그리고 미세먼지가 심할 때 우리의 대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