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무역 적자전환 된 이유를 알아보자.
오늘은 무역수지 적자전환 된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 무역수지는 중국에서 무역 최대 흑자국이었지만 올해 중국에서 적자전환으로 최대 적자국이 되었습니다.
올해 1,2월 중국에서 무역수지로 6조 원의 적자를 보게 되었습니다. 그동안에 중국에서 우리나라는 제1의 무역 흑자국으로 가장 많은 돈을 벌어왔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중국에서 많은 물품들이 값싸게 수입해 오면서 쓰는 돈이 더 많아짐에 따라 적자국으로 전환되었습니다. 이대로라면 31년 만에 중국에 무역수지 적자를 볼 관망입니다.
우리나라는 중국과 수출 경쟁을 하는 구조
중국의 산업구조가 바뀐 것이 가장 근본적인 원인으로 중국은 배터리와 석유화학인 공업단지 수출규모를 계속해서 키워왔습니다. 그에 따라 수출이 늘어나고, 저 자본과 고 제품으로 계속해서 기존 업체들을 따라잡고, 밀어내고 있습니다.
CATL 배터리회사와 BYD, 샤오미, 중화자동차 등 중국 전자회사와 자동차회사가 합작하면서 완성차 수출도 흑자로 전환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수출 구조와 매우 비슷한 상황입니다. 마치 삼성전자와 LG에너지설루션, SK온,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와 마찬가지로 서로의 시너지를 통해 계속 산업규모를 키워나가고 있습니다.
이대로 간다면 앞으로는 중국과 수출 경쟁을 해야 하고, 중국이 같은 산업 안에서 비슷한 상품을 수출하고 수입도 하는 같은 산업 내에서 무역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중국은 코로나 19 봉쇄 정책으로 인해 내수경제가 얼어붙은 시기에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이 줄어든 영향이 있습니다.
많은 중국인들이 이동의 제한, 외출의 제한을 정부에서 강제하게 되었었습니다. 그 사이 중국에서는 배터리 원료나 핵심소재를 더 많이 수입하게 되었고, 중국에 가장 많이 수출하던 상품인 반도체 납품이 줄어들기 시작했습니다.
중국은 미래도약으로 앞으로 몇 년안에 한국의 반도체와 기술력을 따라잡아 세계 1위가 되는 것을 목표로 TSMC가 본사로 있는 대만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가성 반도체들 특히 차량용은 반도체 기술 중 High quality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중국에서 많이 따라잡은 상황입니다. 또한 중국 정부에서 반도체공장을 가진 회사들을 지원해 주고 막대한 자본력으로 기술인들도 모집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이유로 우리나라가 가장 많이 중국에 수출하던 반도체 납품은 줄어들었습니다.
위안화 달러 패권에 도전하는 중국
중국과 브라질이 무역결제를 달러를 하지 않고, 자국 통화를 사용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중국은 남미 최대 경제 규모 국가 브라질과 무역에서 자국 통화인 위안화를 직접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고, 브라질 투자무역진흥청이 발표했습니다.
브라질 투자무역진흥청(ApexBrazil)은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스위프트)의 대안으로 중국이 만든 독자적 국제 위안화 결제 시스템은 국경 간 위안화지급시스템(CIPS)을 활용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중국 국영 해양석유총공사(CNOOC)는 상하이 석유 천연가스 거래소에서 처음으로 위안화로 액화천연가스(LNG)를 거래를 하면서 이번 위안화 결제가 처음 그리고 산유국 대표로 알려져 있는 사우디아라비아와도 석유 대금 위안화 결제를 위해 논의 중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기업들이 다시 상승할려면 정부에서도 다각화 사업에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중국과 한국의 기술력차이는 점점 좁혀져 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물품의 저가를 바라보는게 아닌 항상 내 돈이 우리나라에 산업에 도움이 되게 쓰여야 우리나라 발전에 이바지한다고 생각합니다. 중국과 미국에 싸움은 계속 되면서 우리나라는 앞으로 어떤 중심을 가져야 할지 저도 계속 생각하고 있고, 여러분들 또한 똑같으실 거라 생각합니다.
이제는 중국 저가자본에 대한 무서움. 주변 일자리가 서서히 없어질 수 있다는 생각과 우리나라에서 그동안 축적해 왔던 기술들이 점점 하나씩 없어져 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항상 자기에 맡은 업무에 열심히 하시는 우리나라 사람들 앞으로 더 분발해야겠네요! 오늘도 고생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