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궁금해결!

엔진오일 교환 주기에 대해 알아봅시다.

by 궁금증을해결한다 2023. 3. 6.
반응형

엔진오일 주입사진
엔진오일 주입 예시 사진

자동차를 운행하면서 정비소를 가장 자주 가는 이유아마 자동차 엔진오일 교환 주기가 되어 가는 경우가 많지 않을까 싶습니다.
특히, 신차 및 중고차를 구매할 경우 가장 먼저 엔진오일을 확인하며, 교환을 하게 됩니다. 
신차에 경우에는 조립 시 발생하는 쇳가루가 유입되어 있을 수 있어 걱정하시는 분들은 교환합니다.
중고차에 경우에는 전 차주가 엔진오일 교환 주기에 맞게 했는지 신뢰를 할 수 없고, 차량이 운행되지 않고, 오랜 기간 동안 방치되어 있었다면 엔진오일 교환 주기를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엔진오일은 자동차 주행에 있어서 가장 필수적인 점검 항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엔진오일을 교환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그리고 엔진오일 교환 주기는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엔진오일 교환 시기는 현대와 기아에서 나온 Manual 책자에는 10000 ~ 15000KM 라고 나와있습니다.
장거리 운행용 차량들은 15000Km는 시동을 잘 끄지 않고 운행하는 과운행 차량을 말하는 것입니다.
단거리 운행용 차량들은 엔진오일 교환후 6개월 이내, 5000 ~ 10000km 사이에 주행 패턴에 맞게 교환하시면 됩니다.

(6개월 이상이 되셨더라도 하루 매일 운전을 하신다면 상관없습니다.)

 
 

엔진오일 역할은 총 4가지가 있습니다.

1. 윤활효과


엔진 내부에 있는 피스톤이 상하운동을 함으로써 피스톤과 실린더 격벽을 움직일 때 마찰을 최소화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마찰을 줄여주어 엔진 손상을 막아주고 피스톤과 실린더에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동차의 힘을 내는 중요 부품이기 때문에 오랫동안 사용하시기 위해 엔진오일 교환 주기를 잘 지키는 것은 꼭 필수입니다. 
이해하기 어려우신 분들은 예를 들어 설명 드리겠습니다. 주사기 피스톤을 상하로 움직인다고 생각하시면 주사기 내부에서 고무 부분이 마찰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 쿨링효과

 

엔진 피스톤은 마찰로 인해 열이 발생하는데 이 열을 오일이 쿨링시켜주는 역할을 하게됩니다. 엔진오일이 높은 열을 견딜 수 있는 점도로 만들어져 있고, 피스톤에 마찰을 줄여주면서 고장을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3. 엔진코팅

 

엔진오일은 엔진을 코팅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피스톤 상하 왕복운동시 발생하는 마찰열로 일해 많은 부품들이 손상이 갑니다. 부품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기기장치에 코팅이,되며 산화도 방지해 줍니다. 
엔진오일 교환주기가 지난 엔진오일은 기기장치에 코팅이 되지 않고 오랫동안 방치되어 산화현상도 잘 일어납니다.
 


4. 엔진 카본제거

 

엔진이 작동할 때 카본이라는 연료에 관계없이 카본이 발생됩니다. 이 카본이 축적되어 있으면 엔진 피스톤이 상하 왕복운동시 발화점, 착화점에 도달하지 않고 연비가 나빠지며 출력이 저하됩니다. 엔진오일이 순환하면서 오일필터에 엔진오일에 함유되어 있는 미세 쇳가루, 카본을 제거하여 엔진효율을 유지하게 됩니다.

엔진오일이 교환시기를 잊어먹었을 때, 확인방법

엔진오일 교환시기를 잊어 먹었을 때는 현대블루핸즈, 기아오토큐에서 교체를 하셨다면 전화 후 차량넘버를 조회하면 언제 교체를 했는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서비스센터에서 엔진오일 교체를 하지 않고 사설업체에서 엔진오일을 교체하셨더라도 걱정하지 마시고 이 글 끝까지 읽어보세요.
 


1. 오일게이지 레벨 확인

 

차량을 오래 탔다면 엔진오일은 보통 꿀색인 경우가 많은데 밤꿀색으로 바뀌어 있을 수 있습니다.
오일 레벨이 H/L 선 확인하시고 L선에 가깝다면 가까운 정비소에 가셔서 엔진오일 보충 및 교환하셔야합니다.
 


2. 에어클리너 뒷면 확인하기

 

에어클리너 뒷면이 너무 검은색이라면 가까운 정비소에 가셔서 교체하시는 게 좋습니다.
에어클리너는 대기에 산소를 엔진내부로 빨아들일 때 1차 필터 역을 하기 때문입니다. 흡입이 많아 검은색이 많은 경우 먼지를 많이 빨아드렸단 뜻이고, 그만큼 운행도 많다는 뜻입니다.

오늘도 궁금증을 해결한다.  이상 해결대장이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