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궁금해결!

근육통증에 대해 알아봅시다.

by 궁금증을해결한다 2023. 3. 22.
반응형

노인 여성의 다리 통증 예시 사진 출처- pixabay
노인 여성의 다리 통증 예시 사진

일상생활에서 운동을 하거나, 무리하게 힘을 사용한 경우 근육통증이 발생합니다. 그렇지만 근육통은 무리한 힘을 사용했을 때, 신체 활동을 무리하게 이용했을 때 외에도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오늘은 근육통증에 대해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근육통은 신체의 주된 역활을 담당하고 있는 근육에 발생하는 통증을 의미합니다. 통증 원인으로는 만성 혹은 염좌, 스포츠 손상, 타박상, 누적된 신체적 스트레스, 과사용, 부적절한 자세로 인해 근육이 경직되어 근육 내 혈액순환 장애가 발생합니다. 혈액순환 장애로 인해 원활한 대사물질들이 신경을 자극하고 통증을 유발해 혈액순환을 개선시키는 것이 근육통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근육통의 종류별 관련 질환입니다.

 

1. 자가 면역성 질환으로 다발성 경화증, 근염, 루프스, 결정성 다발동맥염 등 이 있습니다.

2. 감염성 질환으로 감기, 독감, 폐렴, 장티푸스, 말리라이, 뇌염, 전립선염 등 감염성 질환에서도 근육통이 동반될 수 있고, 한 부분이 아닌 여러 부분에 근육에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대사성 질환으로 부신기능부전으로 인해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만성 피로증후군, 근막통증증후군, 섬유근육통증후군, 저칼륨혈증, 말초신경병증

5. 약물로 인한 가다실(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약), 수마트립탄(편두통약), 스타틴(고지혈증 약)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근육통은 통증의 원인을 찾는게 중요합니다. 그래서 근력운동을 하지 않았는데도 몸에 근육통증이 생긴다면 병원에 가셔서 진료받아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근육통이 생겼을 때, 자가 치료방법

 

근육 이완제, 소염제, 진통제 등 신체적 통증을 줄이고 염증을 줄여주는 약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근육 통증이 아프더라도 스트레칭과 물리치료를 받으면서 통증이 만성화되는 것을 방지해야 합니다. 근육통이 만성화되면 수면장애와 우울증 및 일상생활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작은 아픔도 크게 느껴지는 증상도 일어나게 됩니다. 만성 근육통은 치료에 오랜 시간이 걸리며, 완치가 어렵습니다. 외관상 보이지 않기 때문에 환자 본인도 소홀히 여길 수 있습니다. 항상 스트레칭과 자세를 반듯이 해 근육통에 예방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근육통이 생겼을 때, 목욕

 

발의 근육통을 빨리 풀고자 할 때, 족욕을 반복적으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부기를 빼고 땀을 억제하는 사이프러스와 소화기계의 기능을 활성 시키는 레몬, 근육을 유연하게 하고 기분을 맑게 해 주는 로즈메리를 이용해 족욕을 통해 근육 경련과 통증 및 염증을 완화시키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전신욕은 족욕시 보다 물을 더 뜨겁게 해 담그는 것이 좋습니다. [족욕 방법] 40℃ 정도의 따뜻한 온수에 오일을 떨어뜨린 다음 복숭아뼈 위까지 발을 담그고 10분 정도 있습니다.

 

근육이완제 효능효과 및 부작용

근육 이완제의 부작용은 약물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약물은 3가지 군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1. 말초성 근이완제는 공통적인 부작용으로 피부 홍조, 발진 등 피부계 질환의 부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수술 또는 마취 그리고 중환자의 진정 시에 말초성 근이완제를 투여합니다. 성분으로 ( 아트라쿠륨, 시스아트라크륨, 로쿠로늄, 베쿠로늄 ) 등이 있습니다.

2. 중추성 근이완제와 근소포체 억제제의 공통적인 부작용은 졸음입니다. 근육의 경직과 담에 효과가 있으며 근육통, 통증을 통반한 근육의 불규칙적 수축과 이완에 사용합니다. 성분으로 ( 바클로펜, 시클로벤자프린, 메토카르바몰, 티자니딘, 클로르족사존, 클로르족사존 + 아세트아미노펜 ) 등이 있습니다. 클로르족사존과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성분)의 복합체가 많이 있습니다.

 

근육이완제 복용시 주의사항

 

1. 근육이완제는 전문가에 의해 투여되어야 합니다. 장기적으로 약물의존 시 금단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2. 소아와 임부 및 수유부에게는 신중히 투여해야 합니다.

3. 근육이완제를 복용하는 동안 알코올을 섭취하면 과도한 진정 작용이나 저혈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클로르족사존과 아세트아미노펜 복합제의 경우, 매일 세잔 이상 정기적으로 술을 마시는 사람이 복용할 경우 간 손상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